Home / Dental Professionals / 치료영역 / 상악동거상술

상악동거상술

과학적 배경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을 실행 할 때 잔존골의 높이가 충분치 않은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이 경우 치조정 접근법이나 측방 접근법을 이용하여 잔존골의 높이를 높여줄 수 있습니다.

이 때의 골 증대술은 임플란트 식립 전에 행해지거나(two-stage의 경우) 또는 식립과 동시에 행해질 수(single stage의 경우) 있습니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접근방식과 시기를 결정하기 전에 우선 상악 구치부의 잔존골의 높이와 상악동의 상태를 분석해야 합니다. 아래의 표에 상악동거상술에 대한 최근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습니다1-5.

잔존골의 높이>6-12 mm

  • 치조정 접근법 또는 측방 접근법
  • Single stage 또는 two-stage 식립

잔존골의 높이<6 mm

  • 측방 접근법
  • two-stage 식립

상악동거상술을 통하여 상악 구치부에 골 증대를 시도하는 경우 임플란트 식립 전 또는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실행합니다.

200편 이상의 상악동골증대술의 연구논문들이 가이스트리히사의 생체재료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6. 이러한 근거들을 통해 상악동거상술에 있어서 이종골이식재료가 자가골보다 장기적으로 더 낳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7. 또한 Geistlich Bio-Gide®와 같은 맴브레인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임플란트의 생존율을 혁신적으로 높여줍니다8. Geistlich Bio-Gide®를 이용하여 수술 동안이나 치유기간 동안 상악동막의 천공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1.  Jensen OT, et al., International J Oral Maxillofac Impl 1998; 13 Suppl: 11-45 (Clinical study).
  2.  Valentini P, Abensur D,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7; 17(3): 232-41 (Clinical study).
  3.  Valentini P, et al.,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0; 20(3): 245-53 (Clinical study).
  4.  Traini T, et al., J Periodontol 2007; 78(5): 955-61 (Clinical study).
  5.  Valentini P, et al., Clin Oral Implants Res 1998; 9(1): 59-64 (Clinical study).
  6.  Aghaloo TL, Moy PK,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 22: 49-70 (Clinical study).
  7.  Pjetursson BE, et al., J Clin Periodontol 2008; 35 (Suppl. 8): 216-40 (Systematic review).
  8.  Alayan J, Ivanovski S, Clin Oral Implants Res. 2018 Feb;29(2):248-262 (Clinical study).
  9.  Rasperini G, et al.,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10; 30(3):265-73 (Clinical study).
  10.  Weng D, et al., Eur J Oral Implantol 2011 ; 4 (Suppl): 59-66 (Systematic review).
  11.  Jain N, et al., J Clin Diagn Res 2016; 10(9): Ze14-ze17 (Clinical study).
  12.  Palacios JAV, et al., Clin Oral Investig 2018; 22(1): 69-80 (Clinical study).
  13.  Pubmed February 2020. Search term “Bio-Oss” and “Sinus”.

상악동거상술에 대한 대안

치조능보존술과 짧은 임플란트 모두 상악동거상술의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발치 직후 치조능 보존술은 구치부 골량의 >90%를 보존할 수 있는 최소 침습적 접근법입니다.9 치조능 보존술 후에는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골 확대술 없이 표준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습니다.10

긴 임플란트가 최선의 선택으로 간주되지만 짧은 임플란트(<10mm)가 유효한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표면 형상과 질감의 발전으로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근본적인 안정성과 장기적인 골유착이 개선되었습니다.11
그러나 짧은 임플란트는 부정확한 크라운과 임플란트 비율, 위축성 상악 전치부의 심미성 저하 및 치태의 증식과 같은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변연골 소실이 있는 경우 골과 임플란트의 접촉면이 감소하여 임플란트 실패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12

References:

  1.  Jensen OT, et al., International J Oral Maxillofac Impl 1998; 13 Suppl: 11-45 (Clinical study).
  2.  Valentini P, Abensur D,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1997; 17(3): 232-41 (Clinical study).
  3.  Valentini P, et al.,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0; 20(3): 245-53 (Clinical study).
  4.  Traini T, et al., J Periodontol 2007; 78(5): 955-61 (Clinical study).
  5.  Valentini P, et al., Clin Oral Implants Res 1998; 9(1): 59-64 (Clinical study).
  6.  Aghaloo TL, Moy PK,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7; 22: 49-70 (Clinical study).
  7.  Pjetursson BE, et al., J Clin Periodontol 2008; 35 (Suppl. 8): 216-40 (Systematic review).
  8.  Alayan J, Ivanovski S, Clin Oral Implants Res. 2018 Feb;29(2):248-262 (Clinical study).
  9.  Rasperini G, et al.,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10; 30(3):265-73 (Clinical study).
  10.  Weng D, et al., Eur J Oral Implantol 2011 ; 4 (Suppl): 59-66 (Systematic review).
  11.  Jain N, et al., J Clin Diagn Res 2016; 10(9): Ze14-ze17 (Clinical study).
  12.  Palacios JAV, et al., Clin Oral Investig 2018; 22(1): 69-80 (Clinical study).
  13.  Pubmed February 2020. Search term “Bio-Oss” and “Sinus”.